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전세 대출 이자율 총정리 : 청년·신혼부부부터 일반 대출까지

by 미스터노플랜 2025. 4. 8.

"2025년 전세대출 금리는 얼마일까?"


전세 계약을 앞두고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게 바로 전세대출 이자율입니다.
이자 0.1%만 달라도 매달 수십만 원이 차이날 수 있기 때문이죠.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전세대출 상품별 이자율을 총정리하고,
청년·신혼부부 전용 상품부터 일반 은행권 전세대출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1. 2025년 주요 은행 전세대출 금리 (일반형)


은행 전세대출 상품명 금리 (2025년 4월 기준) 한도
국민은행 KB 전세대출 연 4.30% ~ 5.60% 보증금 80% 이내
신한은행 신한 안심전세대출 연 4.25% ~ 5.50% 보증금 80% 이내
우리은행 우리 전세대출 연 4.35% ~ 5.70% 보증금 80% 이내
하나은행 하나 전세론 연 4.40% ~ 5.80% 보증금 80% 이내
농협은행 NH전세대출 연 4.20% ~ 5.50% 보증금 80% 이내

📌 은행마다 기준금리(코픽스/금융채)와 가산금리에 따라 다름
📌 실제 금리는 신용도, 소득, 보증서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


✅ 2. 청년 전용 전세대출 금리 (2025)

청년 전세대출은 정부에서 보증하거나 이자 일부를 지원하는 상품이 많아
이자율이 상대적으로 훨씬 낮고 유리합니다.


상품명 금리 대상 특징
버팀목 청년전세자금대출 연 1.5% ~ 2.4% 만 19~34세, 무주택 청년 연소득 5천만 원 이하, 보증금 3억 이하
청년 전용 보증부 전세대출 (주택금융공사) 연 2.0% ~ 3.0% 무주택 청년 보증서 기반, 대출이자 일부 지원
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(중소기업청년 전세특례) 연 1.2% (고정금리) 중소기업 재직 청년 대출이자 전액 지원 (최대 10년까지)

💡 중소기업 재직 중이면 ‘중소기업청년 전세대출’이 단연 최고 혜택!


✅ 3. 신혼부부 전세대출 금리 (2025)

신혼부부도 정부 정책으로 다양한 저금리 대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
상품명 금리 대상 특징
버팀목 전세대출 (신혼부부 우대형) 연 1.2% ~ 2.1% 혼인 7년 이내 부부 연소득 7천만 원 이하
주택도시기금 신혼부부 전세대출 연 1.3% ~ 2.3% 무주택 + 자녀 있음 우대 보증금 최대 3억 / 대출 2.2억까지
우리 신혼부부전세론 (은행상품) 연 3.9% ~ 5.2% 혼인 5년 이내 부부 최대 2억 원 대출 가능

✅ 정책 상품은 대출 조건이 엄격하지만 금리가 낮고 이자 지원도 많음
📌 자녀 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되는 경우도 많음!


✅ 4. 전세대출 금리 비교 꿀팁

💡 금리는 어떻게 정해질까?

  • 기준금리 + 가산금리 - 우대금리 = 최종 금리
  • 기준금리: 코픽스 / 금융채 금리
  • 우대금리: 급여이체, 카드사용, 자동이체 등 조건 충족 시 적용

💡 전세대출 금리 낮추는 방법

  1. 급여이체, 자동이체 조건 충족
  2. 신용점수 관리 (대출 전 카드/소액대출 정리)
  3. 정부 지원 상품 우선 고려
  4. 보증기관(주금공, HUG 등) 종류 비교

✅ 실제 사례 시뮬레이션

예시: 보증금 2억 전세, 80% 대출 (1.6억), 대출기간 2년 기준


금리 이자 총액 (2년간)
연 5.0% 약 1,600만 원
연 2.0% 약 640만 원
연 1.2% 약 384만 원

✅ 금리 3.8% 차이로 1,200만 원 이상 차이 발생!

 


✅ 요약

  • 2025년 전세대출 금리는 은행권 4.2~5.8%, 정부 지원형은 1~3%대
  • 청년·신혼부부는 무조건 정책 상품부터 확인
  • 금리는 단순 수치보다 총이자비용 + 조건 유무로 비교하는 것이 핵심!

🔗 참고 링크 및 신청 경로